본문 바로가기

KR EN

미디어허브

LATEST NEWS

HD현대重, 장보고-Ⅱ 성능개량사업 수주, ‘잠수함 기술력’ 입증

▶ 장보고-Ⅱ(214급) 잠수함 3척 성능개량 체계개발사업, 4,689억 원 규모 ▶ HD현대중공업, 장보고-Ⅱ 잠수함 9척 가운데 6척 건조… LIG넥스원과 협력해 2033년까지 성능개량 완료 목표 ▶ “잠수함 분야 기술력 인정 받아… 대한민국 해양안보 위해 장보고-Ⅲ급 첨단 잠수함으로 업그레이드할 것” HD현대중공업이 잠수함 성능개량 체계개발 사업을 수주하며 잠수함 분야 축적된 기술력을 인정받게 됐다. HD현대중공업은 방위사업청과 4,689억 원 규모의 장보고-Ⅱ(214급) 잠수함 3척에 대한 성능개량 체계개발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목) 밝혔다. 이번에 수주한 성능개량 사업은 10년 이상 노후된 장보고-Ⅱ 잠수함 9척 가운데 3척이다. 전투체계, 예인선배열 소나, 기뢰회피 소나, 부이형 안테나 등* 핵심 장비를 최신형으로 교체한다. HD현대중공업은 앞서 장보고-Ⅰ(209급) 잠수함 성능개량을 수행한 LIG넥스원과 협력해 2033년까지 성능개량을 완료할 계획이다. 214급(배수량 1,800톤급) 잠수함은 2007년부터 2020년까지 순차적으로 실전배치된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잠수함이다. HD현대중공업은 독일 외 국가에서는 처음으로 공기불요장치(AIP)*가 적용된 214급 잠수함의 선도함인 ‘손원일함’을 포함해 총 9척 가운데 6척을 건조했다. HD현대중공업은 HD현대미포와의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특수선 사업 역량을 한층 강화해 향후 함정 사업 분야 경쟁력을 크게 제고할 계획이다. HD현대중공업 함정·중형선사업부 주원호 사장은 “이번 잠수함 성능개량 체계개발 사업 수주는 HD현대중공업의 잠수함 분야 축적된 노하우와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214급 장보고-Ⅱ 잠수함을 장보고-Ⅲ급 수준의 첨단 잠수함으로 업그레이드해 대한민국 해양안보의 핵심 전력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HD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월 착수한 장보고-Ⅱ 잠수함 ‘윤봉길함’의 창정비를 계약일보다 35일 앞당겨 지난 6월 조기 인도한 바 있다. 또한, 美 해군 7함대 소속의 41,000톤급 화물보급함 ‘USNS 앨런 셰퍼드’함의 정기 정비 사업을 지난달부터 수행하는 등 함정 유지보수(MRO)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2025.10.30

HD현대重, 북극항로 겨냥 쇄빙선 핵심 기술 선보여

▶ 국책과제 일환 국내 최초 3MW급 전기추진기 POD 시연회 개최 ▶ 영구 자석형 모터로 연료 절감 및 극한 환경서도 안정적인 작동 ▶ 8개 기관 참여, 설계·제작·시험·선급인증 전 과정 공동 추진   HD현대중공업이 북극항로 시대를 앞당길 차세대 친환경·고기동 선박 추진 기술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HD현대중공업은 30일(목) 경남 함안군에 위치한 선박 추진용 방향타 제조 공장에 프로펠러-모터 직결형 선회식 전기추진기(POD, Podded Propulsor)의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날 시연회에는 개발을 주도한 HD현대중공업 관계자 및 공동개발에 참여한 컨소시엄 기관들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배의 이동 방향을 신속히 바꿔주는 POD의 선회 기능 시험을 진행한 뒤, 향후 실증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POD는 선박 추진에 사용되는 장치로, 전통적인 프로펠러와 달리 타(Rudder)와 프로펠러가 통합된 하나의 구조로 이뤄져 있다. 기존 선박에 필요했던 긴 추진축, 지지대, 방향타 없이도 작동이 가능해 엔진룸을 축소할 수 있고, 그 결과 선체 저항이 줄어드는 신선형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영구자석형 모터가 적용돼 조종성과 연료 절감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장점이다. 특히 최근에는 북극항로 운항에 필수적인 쇄빙선의 기동성과 환경 친화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HD현대중공업은 지난 2023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지원 국책과제에 참여해 국내 최초 POD 개발에 착수했다.  HD현대중공업은 HD현대일렉트릭·광진산전·KOPICO·모베나코리아·한국선급·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부산대학교·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8개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오는 2026년까지 3MW급 POD의 개발 및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이 장치는 전기추진선 시장의 핵심 기자재로 자리매김해 국내 조선·해양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며 “향후 마스가(MASGA) 프로젝트의 일환인 북극항로용 선박 개발에도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5.10.30

HD현대인프라코어, 3분기 실적 매출 1조 1,302억 원, 영업이익 809억 원

▶ 글로벌 시장의 수요 회복... 전년 대비 매출 24%·영업이익 291% 증가 ▶ 신흥시장 인프라·광산 수요 견조, 북미·유럽 선진시장도 시장 회복세 ▶ 엔진 부문, 발전기·방산 엔진 매출 확대,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유지 HD현대인프라코어가 30일(목)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매출 1조 1,302억 원, 영업이익 809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글로벌 건설기계 시장의 회복세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 291% 증가했다. 매출은 주요 지역 전반에서 수요가 회복되며 성장세를 보였다. 영업이익은 고부가 제품 중심의 판매 증가, 가격 인상 및 판촉비 절감 등 수익성 중심의 전략이 효과를 거두며 큰 폭으로 개선됐다. 사업부별로는 건설기계 부문이 매출 8,543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 북미·유럽 등 선진 시장의 매출은 전년의 낮은 실적에 따른 기저효과와 유럽의 수요 회복, 북미의 선구매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성장했다. 더불어 중남미·아프리카 지역의 인프라 투자 확대, 광산 장비 수요 증가 등으로 신흥시장 지역 매출이 고르게 늘었다. 중국은 기존 HD현대건설기계 강소법인의 생산 물량이 HD현대인프라코어 연태법인으로 통합되면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2% 상승하며, 사업재편 효과가 본격화 되었다. 엔진 부문은 매출 2,759억 원, 영업이익 465억 원을 기록하며 각각 전년 동기 대비 8%, 42% 성장했다. 전력 수요 확대에 따른 발전기용 엔진 매출 증가와 꾸준한 방산용 엔진 수요가 성장세를 견인했다. 또한 판매가격 인상과 고수익 제품 비중 확대를 통해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유지했다. 향후에는 대형 전자식·가스 발전기용 엔진의 판매 확대, 방산엔진 매출 본격화, 통합법인 출범에 따른 엔진 공용화 등으로 중장기 매출과 수익성 향상이 기대된다. HD현대인프라코어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건설기계와 엔진 전 부문에서 성장 모멘텀을 강화할 것”이라며 “고수익 제품 중심의 포트폴리오와 효율적 비용 관리로 중장기 매출과 수익 모두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10.30

0